00
개감수이다
●개감수 /참대극 이라고도 한다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Euphorbia sieboldiana
분류 대극과
분포지역 한국, 사할린섬 남부, 쿠릴열도 남부
서식장소 산과 들
크기 높이 20∼40cm
감수·낭독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20∼40cm로 줄기는 가늘고 둥글며 곧게 선다.
가지가 듬성듬성 갈라지고 붉은 자주색을 띠는데 끊으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형이다. 잎 길이 3∼6cm, 나비 0.7∼2cm로 밑이 좁고 끝이 뭉뚝하며
톱니가 없다. 줄기 끝에 5개의 긴 타원형 잎이 돌려난다.
총포는 세모난 달걀 모양이고 길이 1∼4cm, 나비 0.8∼2.5cm이다.
꽃대는 우산 모양으로 5개 나고, 작은꽃대는 2갈래로 갈라지며, 포는 세모난 달걀 모양이고 톱니가 없다.
7월에 녹황색 꽃이 피는데, 여러 개의 수꽃과 1개의 암꽃이 있으며 총포조각은 달걀 모양이다.
수꽃은 수술이 1개, 암꽃은 암술이 1개이며 암술대는 길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9월에 익으며 윤기가 나고 둥글다. 지름 3mm 정도이고 3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밋밋하며 길이 2∼3mm이다.
대극과의 다년생 쌍떡잎식물로 원산지는 한국이며 산이나 들에서 볼수 있다.
다른 이름으로는 감수, 능수버들, 산감수, 산개감수, 산참대극, 좀개감수, 참대극 이라고도 한다.
뿌리를 '감수(甘遂)'라 하며 약용하는데, 뿌리는 수염뿌리이고,
줄기는 가늘고 긴 원기둥꼴로서 곧게 서며 성기게 갈라지며 홍자색을 띠는 데,
줄기를 자르면 유액이 나오는 데 유독성이다.
관상용으로 이용되고 한방에서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이뇨제 및 염증 치료제, 늑막염, 수종(水腫),
림프선염, 당뇨, 치통, 복수, 각기병 등에 약초로 사용하는데,
유독성 약용식물로써 사용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山 속에서 ~~!! ] > 野生花 갤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6]나도개감채이다 (0) | 2011.05.16 |
---|---|
[315] 는쟁이냉이 (0) | 2011.05.16 |
[313]앵초 (0) | 2011.05.16 |
[312]족두리풀 (0) | 2011.05.16 |
[311]피나물 (0) | 201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