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괭이눈
범의귓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는 5~15cm이며, 잎은 어긋나고 심장 모양이다.
4~5월에 연한 황록색 꽃이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우리나라의 북부 지방과 울릉도에 분포한다.
애기모습/박태강
새미(샘)처럼 둥근 눈동자엔 천진 난만한
웃음만이 가득하다
남을 해코지 하려는 마음은
애초에 없고
웃으며 웃으며 바라보는
티없는 얼굴엔
욕심 없는 부쳐님의 얼굴만
보이고
빙그레 미소짓는 그 아름다움은
꽃
풋풋한 풀향기
넓게 퍼지고
오돌똘한 그얼굴
태양 같아라.
..............................................................................................................................................................................................
●괭이눈/금요자라고도 한다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Chrysosplenium grayanum
분류 범의귀과
분포지역 한국·중국\·쿠릴열도(남부)·일본
서식장소 산과 들의 습지
크기 꽃줄기 높이 5∼20cm
금요자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땅위로 벋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높이는 5∼20cm이다.
잎은 길이 5∼20mm, 나비 5∼18mm로 꽃줄기에 2장씩 마주나는데 잎자루는 짧고 달걀 모양이며
안으로 굽은 톱니가 있다.
4∼5월에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의 작은꽃이 피며 꽃 둘레의 잎은 연한 노란색이다.
꽃받침잎은 곧추서고 둥글며 수술은 4개이다. 꽃밥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2개로 깊게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크기가 서로 다르며, 끝에 1개의 봉합선이 있다.
종자는 다갈색에 윤기가 돌며 전체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중국·쿠릴열도(남부)·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금괭이눈 천마괭이눈이라 불렀다고도합니다.
괭이눈은 선괭이눈,애기괭이눈,가지괭이눈,금괭이눈등..
금괭이눈은 꽃잎이 올라온게 특징
선괭이눈은 꽃대가 수직으로 올라오고 잎이 마주난게 특징
둘다 꽃이 필때 잎이 노랗게 물들었다가 꽃이 질때쯤에는 녹색으로 변한다고 합니다.
' [山 속에서 ~~!! ] > 野生花 갤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3] "백두산 매발톱 (0) | 2010.04.28 |
---|---|
[072] 진달래(참) (0) | 2010.04.27 |
[070] 노루귀 (0) | 2010.03.20 |
[069] 너도바람꽃 (0) | 2010.03.20 |
[068] 변산바람꽃 (0) | 2010.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