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적 기대와 관심의 힘] '피그말리온 효과'
똑같은 식물을 심은 화분 두 개가 있습니다. 첫 번째 화분에는 웃으면서 칭찬과 함께 물을 주었고
두 번째 화분에는 잔뜩 찡그린 표정으로 험담을 퍼부었습니다. 두 화분의 식물은 어떻게 됐을까요?
웃음과 칭찬을 먹고 자란 첫 번째 화분의 식물은 튼튼하게 자란 반면, 두 번째 화분은 금세 말라 죽고 말았습니다.
오늘은 첫 번째 화분처럼 긍정적인 기대나 관심이 사람에게도 좋은 영향으로 나타난다는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피그말리온’에 대해
‘피그말리온 효과’라는 심리학 용어의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키프로스(Cyprus)의 왕입니다.
하루는 키프로스의 여인들이 섬을 찾은 한 나그네를 박대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그로 인해 그 여인들은 사랑과 미와 풍요의 여신 비너스(Venus, 또는 아프로디테(Aphrodite))에게 저주를 받게 되었습니다.
이를 본 피그말리온은 여성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되었고 여성을 멀리했죠.
대신 피그말리온은 상아로 실제 사람 크기의 여인상을 만들었습니다.
뛰어난 조각 실력의 피그말리온이 만든 이 여인상은 그 어떤 여자보다도 아름다웠다고 합니다.
그 아름다움에 피그말리온마저 그 여인상과 사랑에 빠지게 되었고, 갈라테이아(Galatea)라는 이름까지 지어줄 정도였죠.
이후 피그말리온은 비너스에게 이 여인상 같은 아내를 맞이할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했고,
비너스는 이 여인상에게 생명을 불어넣어 주었습니다. 결국 피그말리온과 인간 갈라테이아는 결혼해 딸 파포스(Paphos)를 낳게 되었습니다.
피그말리온이 여인상을 사랑해 여인상이 생명을 얻은 것처럼, 다른 사람에게 기대나 관심을 갖게 되면
그 사람이 하는 일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을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호통보다는 격려와 칭찬을
부정적 인식이 낳는 결과 ‘스티그마 효과’
‘스티그마 효과(Stigma effect)’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스티그마란 불로 뜨겁게 달군 인두를 가축의 몸에 찍어 소유권을 표시하는
낙인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스티그마 효과를 ‘낙인 효과’라도 하죠.
스티그마 효과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무시를 당하거나 낙인을 찍힌 것처럼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면 실제로
그 대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고 그 대상 역시 점점 더 나쁜 행태를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긍정적인 평가나 기대에 부응하려고 노력하게 되는 피그말리온 효과와는 반대로,
부정적인 평가나 인식에는 부정적인 행태가 보여지는 것이죠.
스티그마 효과는 심리학에서 인간의 일탈이나 부적응 행동을 설명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미국의 사회학자 하워드 베커(Howard Becker)가 주장한 ‘낙인 이론(Labelling theory)’과 맥락이 통하는 개념인데요.
하워드 베커가 제창한 낙인 이론에 따르면, 처음 범죄를 저지른 사람을 범죄자로 낙인 찍으면
결국 그 사람은 스스로 자신이 범죄자라고 인식하게 된다고 합니다.
하워드 베커는 낙인 이론을 통해 잘못된 정체성은 그 사람을 범죄자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설파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편견으로 인한 위험한 낙인
“하나의 긍정적인 생각이 수천 개의 부정적인 생각을 몰아낸다.” 미국의 로버트 슐러(Robert Schuller) 목사가 한 말입니다.
사람도 식물과 같습니다. 긍정적인 관심, 또는 스스로에 대한 긍정적 사고만으로도 우리는 무럭무럭 자라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그리고 나부터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의 에너지를 전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긍정적 기대의 힘, 로젠탈 효과
로젠탈효과(Rosenthal effect)는 앞서 말했듯이, 긍정적 기대와 관심에 중점을 둔 용어입니다.
로버트 로젠탈(Robert Rosenthal) 교수로부터 만들어진 용어로서, 1968년 초등학교 교장 선생님인
레오노레 야콥슨(Leonore Jacobson)과 함께 샌프란시스코의 초등학교에서 실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유명한 이 실험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흔히 말하는 긍정의 힘!은 로젠탈효과로부터 나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긍정적인 기대와 관심으로 인해 좋은 영향이 나타난다는 로젠탈효과는 교육학에서도 주목받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 중 하나일 것입니다.
학교뿐만 아니라 직장, 스포츠, 가정 등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플라시보 효과
노시보 효과와 플라시보 효과에 대해 들어보신적이 있나요?
의학치료법인 플라시보 효과는 심리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 진행 되는데요. 실제는 듣지 않는 가짜 약품을 일컫는 플라시보는,
마음에 들다 라는 라틴어 입니다. 환자에게 가짜 약을 투여하면서 효능이 있는 약재 처럼 속이게 되면,
환자는 이 약이 나를 낫게 해줄거라는 믿음 때문에 병이 낫게 되는 현상을 말하죠.
-노시보 효과는
반대로 노시보 효과는 '해를 입다' 라는 단어인데요. 노시보와 플라시보 효과는 정반대 되는 개념으로 내가 처방 받는 약이 부정적이다,
좋지 않다고 생각 하게 된다면 오히려 건강이 나빠지는 결과를 낫는다는 현상을 의미해요.
'[길위에서 ~~ !!] > 야생화 묵상默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감 가지기 (0) | 2015.03.11 |
---|---|
인생에 답은 없다 (0) | 2014.11.27 |
공허감이 있다면 (0) | 2014.09.11 |
고독의 연대 (0) | 2014.08.19 |
사랑의 가치를 안다면 (0) | 2014.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