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혁" 아는 사람은 다 알것이다.이동혁은 풀꽃나무칼럼니스트이다.
중앙일보에 야생화를 연재하면서 유명해졌고, 그 기사를 보고 내가 야생화에 입문하게 되었다.
모든 야생화 지식은 여기서 많이 배운다.
변산바람꽃처럼 - 흰꽃잎처럼 보인것도 꽃잎이 아닌란것도...
오늘 출사길에 습한곳에 바람꽃이 뿌리채 뽑힌 녀석을 발견 했는데 밑둥에 콩나물 대가리처럼 둥근게 메달려 있었다.
속으로 그랬다. "넌 역쉬 콩나물'이야 ...추위에 일찍 나온 녀석들을 보면 밑둥이 콩나물처럼 여리고 힘이 없어 금방이라도
뽑힐 것같아 불안하기그지없다. 노루귀도 마찬가지다.
그 둥근게 궁금하여 오늘 배워 보았다.
2014 03 08 촬영
입력 : 2014.02.22 09:00
- ▲ 고개를 내민 변산바람꽃
그러니 제주도를 비롯해 전남 여수의 향일암 주변, 경남 거제도 노자산 등지에서는 2월에 피어 3월이면 다 져버리는 변산바람꽃의 존재에 대해 알지 못했던 것입니다. 지금은 고인이 되신 학계의 원로 전의식 선생님은 1993년보다 앞선 시기에 마이산에서 변산바람꽃을 발견했지만, 너도바람꽃이겠거니 하셨답니다. 만약 그때 차이점을 발견해 보고했더라면 변산바람꽃이 아니라 마이산바람꽃이 되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 ▲ 제주도 민오름의 변산바람꽃
- ▲ 경기도 안양시 수리산의 변산바람꽃
그중 경기도 안산시 풍도라는 작은 섬에서 피는 것들은 꽃잎의 모양이 조금 다르고 0.5㎜ 정도 더 크다는 이유로 ‘풍도바람꽃’이라는 신종으로 등록되었는데, 그건 정말 어처구니없는 일입니다. 개체마다 다 달라서 일률적이지도 않은 미세한 단위의 차이점을 들어 변종이나 품종도 아닌 정식 종으로 등록했으니 말입니다.
- ▲ 눈 속에 핀 풍도의 변산바람꽃
- ▲ 풍도의 변산바람꽃 군락
진짜 꽃잎은 그 안쪽에 초록색, 노란색 또는 황록색으로 빙 둘러쳐진 깔때기 모양의 것입니다. 그래서 변산바람꽃의 꽃은 흰색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꽃잎은 초록색, 노란색 또는 황록색이라고 해야 맞습니다.
- ▲ 변산바람꽃의 꽃
바람꽃이라는 이름에는 오해가 좀 있습니다. 줄기가 연약하다 보니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흔들린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누가 지어낸 이야기에 불과합니다. 오리지널 바람꽃을 본 분이라면 절대 그런 소리 못 할 겁니다. 설악산의 칼바람과 맞서 싸우며 자라는 바람꽃은 키가 사람 정강이 높이까지도 자라고 줄기가 굵어서 매우 강인한 모습입니다.
그런데도 그런 이름이 붙은 이유는 바람꽃의 속명인 아네모네(Anemone)가 그리스어로 ‘바람의 딸’이라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바람꽃과 비슷하게 생긴 꽃에다가 모두 ‘바람꽃’을 넣어 부르다 보니 아네모네속이 아닌 식물까지도 같은 가문으로 취급받게 된 것입니다.
변산바람꽃은 아네모네속이 아니라 에란디스(Eranthis)속 식물이므로 바람의 딸이 아닙니다. 혼외 자식도 아니고요. Eranthis는 그리스어 er(봄)와 anthos(꽃)의 합성어라고 하는데, 이른 봄에 피는 특성에서 붙여진 속명 같습니다. 참고로, 오리지널 바람꽃은 여름에 핍니다.
- ▲ 설악산 대청봉의 바람꽃
이유는 경쟁과 선택에 있습니다. 좋은 시기에 피면 좋겠지만 그렇게 하면 수많은 식물과 경쟁해야 합니다. 경쟁에서 이길 자신이 있다면 모르겠지만, 필승의 전략이 있지 않다면 당연히 다른 선택을 해야 합니다.
남들이 잘 살지 않는 험준한 산으로 이동해서 그 환경에 적응해서 살거나, 남들과 시기를 달리해 꽃을 피우는 방법을 택해야 합니다. 변산바람꽃은 후자 쪽을 택했습니다. 좀 춥긴 해도 일찍 꽃을 피우면 꽃가루받이를 해줄 심부름꾼들을 독점해서 부려 먹을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 ▲ 변산바람꽃의 꽃가루받이
- ▲ 변산바람꽃의 덩이줄기
' [山 속에서 ~~!! ] > 野生花 출사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각하늘 나들이 -봄 마중 (0) | 2014.03.27 |
---|---|
3월 어느날에 ...홍릉수목원 (0) | 2014.03.10 |
변산에서 만나는 변산바람꽃,홍노루귀 ,흰노루귀 (0) | 2014.03.02 |
착각 (0) | 2013.11.18 |
국군의 날 - 하늘은 높다 (0) | 2013.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