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적 구조를 추상화하고 강력한 탐험 전략을 개발하는 모차르트의 뛰어난 능력은 음악에만 전념했던 그의 일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아버지에게 음악을 배우던 아주 어린 시절부터 그의 삶은 음악으로 충만했다. 예쁜 소녀들이나 야한 농담을 제외하고는 음악이 그의 유일한 관심사인 듯 보인다(살리에리가 더욱 격분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렇다고 그가 음악에 단지 관심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열정도 있었다. (452p) |
마거릿 A. 보든 지음, 고빛샘 외 옮김 '창조의 순간 - 새로움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중에서 (21세기북스(북이십일)) |
'창의성'은 타고 나거나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몰입, 노력, 동기, 열정, 대가 같은 단어가 창의성을 만들어냅니다.
창의성이라는 단어에서 떠오르는 대표적인 인물인 모차르트. 그도 자신의 대표작은 작곡하는데는 12년이 걸렸으며 다른 '천재적'인 작곡가들도 다르지 않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천재로 알려진 이들도 '전설'과는 달리 실제로는 엄청난 시간과 뼈를 깎는 노력을 통해 그런 창의적인 업적을 만들어낸 것이라는 얘깁니다. 창의성은 '1퍼센트의 영감과 99퍼센트의 노력'이라는 겁니다.
이렇게 자신의 분야에 '몰입'하려면 '유혹'을 이겨내야 합니다. 우리의 삶에 존재하는 수많은 유혹들... 이런 유혹에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하지요.
"다윈의 건강 염려증은 과학계나 사회적 관계에 기인한 피로, 시간낭비, 분주함 등으로부터 보호막 역할을 했다. 덕분에 그는 집에서 '쉴' 때에도 전혀 쉬지 않고 끊임없이 진화에 관한 아이디어들을 발전시키고 다듬을 수 있었다...
모차르트에게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쉽게 떠오른 것처럼 보인다. (불쌍한 살리에리!) 또한 그는 다윈보다 훨씬 사교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차르트는 자기가 선택한 분야에 전적으로 몰입했다. 창의성은 결코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2011년이 시작됐습니다. 올 한 해 자신의 분야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고 무언가 의미 있는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몰입이 필요합니다.
"나는 지금 내가 선택한 분야에 전적으로 몰입하고 있는가? 유혹들을 이겨내지 못해 에너지를 분산시키고 있지는 않은가?" 새해를 맞아 이런 중요한 질문들을 스스로에게 던져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
'[생각 속에서 ~~!!] > 생각만들기-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제나 '지금'이 가장 춥고 가장 힘들게 느껴진다 (0) | 2011.01.19 |
---|---|
뜨거운 주식시장과"황소 시장"과 "곰 시장"의 유래 (0) | 2011.01.06 |
성공적인 시간경영은 할 일을 미루지 않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0) | 2011.01.01 |
'충실성'(fidelity)과 '편의성'(convenience). (0) | 2010.12.31 |
'준비-조준-발사'에서 '발사-조준-준비'의 시대로... (0) | 2010.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