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에서 빈부귀천(貧富貴賤)을 떠나 누구에게나 공정한 게 하나 있다.
모두 장생불사(長生不死)를 꿈꾸지만 ‘죽음’만큼은 그 누구도 비켜갈 수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인지 죽음을 일컫는 표현 또한 실로 다양하다.
사람의 죽음을 가리키는 가장 흔한 말은 사망(死亡)이다.
죽어서 없어지기에 사몰(死沒),
세상을 버리기에 기세(棄世)다.
넋이 하늘로 돌아간다고 해서 귀천(歸天), 황천(黃泉)으로 간다고 해 귀천(歸泉)이다.
죽어서 세상을 떠나기에 사거(死去)이며 죽어서 멀리 가기에 졸거(卒去)이기도 하다.
윗분이 돌아갔을 땐 별세(別世), 보다 더 존경의 염을 담을 때엔 서거(逝去)라고 한다.
사랑하는 아내의 죽음은 금슬(琴瑟)의 줄이 끊어진 것과 같다 하여 단현(斷絃),
아버지의 죽음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으로 천붕(天崩),
어머니의 죽음은 땅이 꺼지는 지붕(地崩)이다.
열사(烈士)의 죽음은 순국(殉國)이요, 전장에서 목숨을 바친 군인은 산화(散華)다.
고인(故人)이 됐다는 뜻에서 작고(作故)이며, 죄인의 죽음은 물고(物故)다.
또 사람의 죽음은 인간계(人間界)를 떠나기에 타계(他界)이기도 하다.
임금의 죽음은 붕어(崩御), 붕서(崩逝), 승하(昇遐) 등 다양하다. 왕세자의 죽음은 훙거(薨去)라 한다.
불가에선 승려의 죽음을 입적(入寂), 입멸(入滅), 원적(圓寂)이라고 한다.
사라져 없어진다는 뜻의 적멸(寂滅)이며, 일체의 번뇌에서 벗어난다고 해 열반(涅槃)이나 해탈(解脫)로도 표현한다.
가톨릭에서는 선종(善終)이라고 한다.
착하게 살다 복되게 죽는 게 삶의 바른 길이라는 선생복종정로(善生福終正路)에서 나온 말이라고 한다.
개신교에서는 하나님의 부름을 받는다 하여 소천(召天)이다.
지난주 사랑의 교회를 일군 옥한흠 목사가 소천했다. 하나님 부름을 받은 것이지만 이 땅에 남은 이들의 슬픔은 좀처럼 가시기 어려울 것이다.
죽음을 일컫는 수많은 말엔 한 사람의 일생에 대한 평가가 다분히 깃들어 있기도 하다.
당신과 내가 세상과 작별을 고할 때, 그때 그 모습은 과연 무엇으로 불릴까.
유상철 중국연구소 소장
'Galleryshop·洗心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서 말을 해 (0) | 2010.09.20 |
---|---|
나비가 되여 (0) | 2010.09.14 |
어머니 편지 / 김남조 (0) | 2010.09.06 |
낡고 낡은.. (0) | 2010.08.30 |
선물 증정식은 -잠 그리고 天命 (0) | 201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