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92좌.봉화 청량산(해발870m )(220525일)

92좌.봉화 청량산(해발870m. )(220525일)

 

무량無量한 마음으로 
청량淸凉하게  오고자 했던 곳 
그저 가슴이 뭉클합니다.

 

1일3산(삼척ㅡ덕황산태백ㅡ함백산봉화ㅡ청량산 )의 마지막 코스 봉화 청량산으로 왔다.

청량산(淸凉山)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이다. 최고봉은 장인봉이며 1982년(경상북도 고시 제172호)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92좌 인증합니다.

 

청량산 산문에 들어 갑니다

 

청량산가/ 

 

 

원효대사의 구도의 길로 걸어 가봅니다

 

들머리는 입석대 입니다.

 

ㅡ연자봉과 선학봉이 보이고

 

 

ㅡ시인의 집 솟대

 

 

ㅡ삶의 아픔을 느끼면서

 

 

뒤로 자소봉이 보이고

 

 

ㅡ통나무로 흐르는 샘물 소리가 정겹더라

 

 

ㅡ앉아 있으니 세상이 내 것인 듯
ㅡ잠시 후회 ㅡ하루 묵고  아침에와서 여유를 더 부리다 갈걸



ㅡ이 좋은 자연과 벗 삼아서
ㅡ이미 왔으니.,어쩔

 

 

이젠 하산 시간까지
생각하면 정상길이 바쁘다.

 

 

ㅡ고난이도 유격 훈련쯤



 

ㅡ하늘다리 도착

 

ㅡ바람 한번 시원타

 

 

오르고 또 오르고 내리고 헉헉 

 

장인봉 정상입니다

 

 

ㅡ드뎌 정상 92좌 인증합니다

 

ㅡ앗 나비가 내 뒤로

 

 

ㅡ자소봉이 보이고



ㅡ하산길에 다시 기념샷

 

 

ㅡ하늘이 심상치 않다
마른하늘에 우르릉 쾅 천둥이다

 

 

시인의  글이 발목을 잡는다...숨은 가져 가시라는 말이 뭉클 합니다

 

 

ㅡ사랑하고 ,그리워 하면

 

 

ㅡ소나무의 아픔
ㅡ울진 응봉산이나 청송산에도
상처난 소나무가 많다. 일본***

 

ㅡ몇십년이 지났어도
상처를 치유하려고 송진을 계속 내보내는 소나무(젖은부분)

 

 

 

ㅡ이런 하늘이었는데
하산후 차 시동을거는데
우르릉꽝 소나기가 겁니부러 잠시 숨을 고르고 집으로 왔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일3산의 후기


길은 떠남이 아니라 돌아오기 위해서 떠나는것처럼  시인에게 이 세상은 병자들의 집합소였다. 
그래서 시집 제목을 "병원"이라 적었다. 하지만 이내 고쳐 쓰기로 했다. 새로 쓴 제목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마침내 제목을 고쳐 쓴 시인은 
고통의 세상에서 하늘의 별에게로 눈을 돌렸다. 
…/별 하나에 추억과/별 하나에 사랑과/별 하나에 쓸쓸함과/…윤동주시인의 얘기이다

세상이 병원처럼 탁할 때 
환자가 되기 싫으면 떠나 보는 것이다.

"길은 떠남이 아니라  돌아오기 위해서 떠나는것처럼"
나 또한 떠남은 돌아 오기 위함이 아니던가 ? 
내가  산을 오르는 이유입니다

 

 

안즐산에 감사 합니다.

100대 완등 하는  날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