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 이야기~~!!]/꽃말의 유래

●바람꽃의 유래

 

●바람꽃의 유래

 

꽃이름은 그리스어의 아네모스(Anemos:바람)에서 비롯하였다. 꽃말은 ‘사랑의 괴로움’이다.


그리스신화에서는 미소년 아도니스가 죽을 때 흘린 피에서 생겨난 꽃이라고 한다.
한국에는 설악산에서 자라는 바람꽃(A. narcissiflora), 한라산에서 자라는 세바람꽃(A. stolonifera),
흔히 볼 수 있는 꿩의바람꽃(A. nikoensis) 등이 자란다.

 

한가지더 .......

옛날 꽃의 신 플로라에게는 아네모네라는 미모의 시녀가 있었습니다.
아네모네를 염치도 없이 플로라의 남편인 바람의 신 제피로스가 사랑하였습니다.
이 사실을 안 플로라는 아네모네를 멀리 포모누의 궁전으로 쫓았습니다.
그러나 제피로스는 바람을 타고 곧 그녀를 뒤쫓아서 둘은 깊고 뜨거운 사랑을 하였다고 합니다.

새로변한 플로라는 두 사람이 사는 곳으로 날아가 그 광경을 보고
질투에 불탄 나머지 아네모네를 꽃으로 만들었습니다.

슬픔에 젖은 제피로스는 언제까지나 아네모네를 잊지 못하고 매년 봄이 오면
늘 따뜻한 바람을 보내어 아네모네를 아름답게 꽃피운다고 합니다.

자세히 ......

그리스 신화에서 사랑과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는 많은 남신,
남성들과 사랑을 나누었는데 그중에는 아도니스라는 청년이 있었습니다.
남성이면서도 아도니스의 아름다움은 여느 여성과 여신을 능가하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아프로디테와 아도니스에 대한 이야기는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긴 이야기와 짧은 이야기가 있는데 짧은 이야기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즉 어느날 아프로디테가 아들인 사랑의 신 에로스와 함께 숲에서 쉬고 있었는데
사랑의 화살을 가지고 놀던 에로스가 그만 실수로 어머니를 찌르고 말았습니다.


에로스의 사랑의 화살은 처음 보는 이성을 사랑하게 만드는 능력이 있지요.

공교롭게도 때마침 아도니스가 근처를 지나가고 있었고 그를 본 아프로디테는 그에 대한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그때부터 아프로디테는 모든 일을 내버려두고 아도니스와 함께 사냥을 다니면서 사랑을 나누게 되지요.
하지만 그녀는 아도니스를 걱정하여 사자나 곰 같은 맹수를 사냥하지 못하게 했습니다.


다만 토끼나 사슴과 같은 연약한 짐승들만 사냥하도록 하였지요.

그러던 어느날 아프로디테는 제우스의 부름을 받아 올림포스로 올라가게 되었는데 떠나면서
연인에게 맹수를 사냥하지 말라고 신신당부를 하였지요.
하지만 그녀가 떠나가자 아도니스는 호기를 부리면서 맹수를 사냥하려 하였습니다.


그가 발견한 맹수는 바로 사나운 멧돼지였지요.

아도니스가 던진 창은 멧돼지를 맞히기는 하였지만 너무 힘이 없어 큰 상처를 입힐 수가 없었습니다.
대신 노한 멧돼지의 뿔에 받혀 목숨을 잃게 되었지요.
그의 비명소리를 들은 아프로디테는 부리나케 달려왔지만 이미 때는 늦었습니다.

 

그래서 아프로디테는 슬피 울면서 신들의 음료인 암부로시아를 피가 흐르는 아도니스의 가슴에 부어주었는데
그 흐르는 피에서 한송이 꽃이 피어났고 이를 아네모네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 아네모네는 이러한 속절없이 덧없는 사랑에서 피어났기 때문에 바람이 불면 금방 피어났다가
바람이 불면 금방 져버리지요.

 

이상이 짧은 이야기입니다.
긴 이야기에는 아도니스의 탄생 이전의 이야기와 죽음 이후의 이야기..
부활의 이야기까지 담겨있고 아프로디테가 아도니스를 사랑하게 된 연유가 조금 다릅니다.
물론 아도니스가 죽는 부분은 같습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인 검색중, 네이버 백과사전

'[꽃 이야기~~!!] > 꽃말의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일홍 이야기  (0) 2011.09.13
불두화 이야기  (0) 2011.09.13
●복수초 [福壽草] .전설1  (0) 2011.09.13
●매화전설  (0) 2011.09.13
 山慈姑/'까치무릇  (0) 2011.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