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 속에서 ~~!!]/생각만들기-노트

얼마나 오랫동안 견디고 노력해야 성취를 이룰 수 있는 것일까?"

질레트는 훗날 그 당시 자신이 갖고 있던 비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썼다.
"어리석게도 난 면도기에 대해서 아는 게 별로 없는 데다 강철은 더더욱 모르고 있었다. 더구나 나의 면도기가 성공하기 전까지 어떤 고난과 시련이 기다리고 있을지에 대해서도 전혀 모르고 있었다."...
 
"하지만 난 그만둬야 한다는 걸 알지 못했다. 만약 내가 기술교육을 받은 사람이었더라면, 그 정도에서 그만두거나 아예 시작조차 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데 난 '무지개 너머 황금 동산'을 믿는 몽상가였다. 그래서 현명한 사람이라면 발도 들여놓지 않았을 길을 계속 걸었던 것이다. 그것이 오늘날의 질레트가 있게 된 유일한 이유다."
(173p)
 
제러드 J. 텔리스 외 지음, 최종옥 옮김 '마켓리더의 조건 (반양장 보급판) - 마케팅의 고정관념을 통쾌하게 깨뜨리는 최상의 전략' 중에서 (시아출판사)
볼티모어실컴퍼니의 영업사원이던 킹 C. 질레트(1855∼1932).면도용품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인 질레트를 만든 사람입니다.
그가 일회용 면도기를 개발한 것은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 때 '끈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질레트는 면도날이 무뎌져서 면도를 못하게 되는 순간 이 아이디어가 생각났다고 합니다. 그는 면도기와 면도날, 이 두 부분으로 나눠서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평평하고 값이 싼 금속으로 만든, 무뎌지면 그냥 버려도 되는 면도날을 떠올렸습니다. 손잡이를 가운데에 달아서 양쪽 면도날을 다 사용하면 더 좋겠다는 생각도 했지요. 그 때부터 질레트는 이 일회용 면도날에 매달렸습니다.
 
"그 일에 자그마치 6년이 걸렸다. 난 그동안 면도날 개발에 매달렸다. 얇은 철판을 단련하고 담금질해 평면을 유지하되 힘을 줘도 휘지 않게 하는 방법을 알 만한 사람을 찾아야겠다는 일념에서, 보스턴의 모든 칼 만드는 사람과 기계공장은 다 방문했으며, 뉴욕과 뉴어크까지 찾아갔다."
 
질레트는 1903년 처음 면도기를 생산해 판매했습니다. 첫해에는 51개가 팔리는데 그쳤지만, 1908년에 100만 개를 돌파했고 질레트는 결국 최고의 기업이 됐습니다.
 
일부 분석가들이 질레트의 성공은 순전히 운이 좋아서였다는 주장을 펴는데, 그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저자는 강조합니다. 새로운 면도방식은 우연히 떠오른 것이 아니라 그가 일회용 가정용품에 대해 오래동안 연구해온 결과였습니다. 시제품 제작을 성공시킨 보스턴의 기계공 스티븐 포터를 만난 것이나 개발자 니컬슨을 만난 것도 우연이나 행운이 아니라 단념을 모르는 그의 사람을 찾는 노력 덕분이었지요.
 
일회용 면도기의 질레트, 종이 기저귀의 P&G, 비디오녹화기의 소니... 이런 획기적인 제품들은 모두 자신의 비전을 굳게 믿고 중도에 포기하지 않았던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비전에 대한 확신이 어려움을 견디게 하고 지속적인 노력을 가능케해준 겁니다.
 
질레트는 일회용 면도날만 있으면 많은 남성들이 직접 면도날을 갈아야 하는 불편함에서 해방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P&G는 저렴한 종이 기저귀만 있으면 천 기저귀보다 훨씬 편하게 아기들을 돌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요. 소니의 공동 설립자인 이부카 마사루는 언젠가는 편하고 저렴한 비디오 녹화기가 많은 가정에 보급되리라 믿었습니다.
 
"얼마나 오랫동안 견디고 노력해야 성취를 이룰 수 있는 것일까?" 우리가 어려움에 처해 포기하고 싶어질 때 문득 문득 드는 의문입니다.
비전에 대한 확고한 신념. 이것이야말로 어려움을 이겨내고 견디며 끈기있게 일을 추진할 수 있게 해주는 동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