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쑥부쟁이
*쑥부쟁이꽃에는 슬픈 전설이 하나 있다.
옛날 아주 깊은 산골에 가난한 대장장이 가족이 살고 있었다.
이 대장장이의 큰딸은 병든 어머니와 11명이나 되는 동생들을 돌보며 쑥을 캐러 다녔기에
마을 사람들은 그녀를 '쑥을 캐러 다니는 불쟁이네의 딸'이라는 뜻으로 쑥부쟁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쑥부쟁이가 산에서 쑥을 캐고 있는데 상처를 입고 쫓기는 노루를 보게 되었다.
쑥부쟁이는 노루를 숨겨 주고 상처까지 치료해서 보내 주었다.
쑥부쟁이가 다시 산길을 가는데 이번에는 멧돼지를 잡으려고 파 놓은 함정에 빠진
사냥꾼을 보게 되었다. 사냥꾼을 구해 주고 보니 아주 잘생기고 씩씩한 청년이었다.
첫눈에 두 사람은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그런데도 아쉽게도 청년은 내년 가을에 다시 찾아 오겠노라는 약속을 하고 떠나 버렸다.
청년을 기다리면서 한해 두해 가을이 지났지만 그 청년으로 부터는 아무 소식도 없었다.
쑥부쟁이는 청녕에 대한 그리움을 이기지 못해 산신령에게 치성을 드렸다.
그랬더니 몇 년 전 목숨을 구해 주었던 노루가 나타났다.
그 노루는 바로 산신령이었던 것이다.
노루는 보랏빛 주머니에 담긴 노란 구슬 세 개를 주었다.
그러고는, "구슬을 하나씩 입에 물고 소원을 말하면 세 가지 소원이 이루어 질 것입니다"라는
말을 남기고 사라져 버렸다.
쑥부쟁이는 첫째 번 구슬을 입에 물고 어머니의 병환을 낫게 해 달라고 했다.
산신령의 말처럼 어머니는 순식간에 건강을 되찾았다. 둘째 번 구슬을 입에 물고는
사냥꾼 청년을 보게 해 달라고 소원을 빌었다.
그러자 바로 그 자리에 애타게 기다리던 청년이 나타났다
그러나 그는 이미 결혼하여 아이까지 두고 있었다. 쑥부쟁이는 청녕이 원망스러웠지만,
아버지를 잃을 아이들이 불쌍하여, 그 청년이 가족들에게 돌아가게 해 달라고 마지막 소원을 빌었다.
그 후 숙부쟁이는 청년을 잊지 못하다가,
어느 날 그만 절벽에서 발을 헛디뎌 죽고 말았다. 쑥부쟁이가 죽고 난 뒤,
그 자리에는 아름다운 꽃이 피어났다.
사람들은 이 꽃을 보고 쑥부쟁이가 죽어서도 배고픈 동생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라 믿었다.
마을 사람들은 이 꽃을 쑥부쟁이라고 부르고 쑥부쟁이의 보랏빛 꽃잎과
노란 꽃술은 노루가 준 주머니와 세 개의 구슬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
●쑥부쟁이
- 잎 : 모양이 선형(긴물고기형) 또는 피침형이거나 길쭉한 타원형으로서 잎의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조금 있거나 밋밋하면서 갈라지지 않는다.
- 꽃 : 여러 갈래의 가지마다 꽃이 핀다.
- 종류 : 쑥부쟁이, 가는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 개쑥부쟁이, 흰개쑥부쟁이, 눈개쑥부쟁이, 섬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흰까실쑥부쟁이, 버드쟁이나물, 미국쑥부쟁이, 빗자루국화, 갯쑥부쟁이, 민쑥부쟁이, 옹굿나물, 쑥방망이
* 구절초
- 잎 : 국화잎처럼 난형이거나 둥근 타원형이면서 아주 깊게 갈라지며, 대개는 끝이 아주 뾰족한 편
- 꽃 : 꽃이 크면서 꽃잎도 넓고 두툼한 편. 꽃대가 줄기에서 대개 한두개 올라와 핀다.
- 종류 : 구절초, 산구절초, 바위구절초, 포천구절초, 낙동구절초, 한라구절초, 서흥구절초, 남구절초,
울릉국화, 키큰산국, 산국, 감국
* 개미취
- 잎 : 잎 모습은 쑥부쟁이류와 대개 비슷한 편이나, 조금 더 크다.
- 꽃 : 구절초처럼 꽃대가 줄기에서 대개 한두개 올라와 핀다.
벌개미취나 좀개미취의 경우 키가 작지만, 개미취의 경우 큰 것은 키가 2m 이상이나 된다.
- 종류 : 개미취, 좀개미취, 갯개미취, 벌개미취
..............................................................................................................................................................................
쑥부쟁이와 구절초를 구별하지 못하는
너하고 이 들길 여태 걸어왔다니
나여, 나는 지금부터 너하고 絶交다!"
안도현 시인의 '무식한놈'이라는 시입니다.
쑥부쟁이하고 구절초 구분못하면 때론 곤경(?)에
처해질지도 모를입니다.
쑥부쟁이와 구절초에 대한 구분법을 간단하게
올려드리니 참고하시어 절교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시길 바랍니다.
쑥부쟁이는 꽃대 하나에 여러개의 꽃이 가지마다
피어나는데요 보라빛의 색깔로 논두렁이나 밭두렁등지
같은 사람과 가까운곳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답니다.
구절초는 음력 5월5일에는 마디가 다섯마디이지만 음력 구월구일이 되면
마디가 모두 아홉마디가 된다고 하여 구절초라는 이름이 붙었답니다.
꽃대 하나에 꽃하나만 피는데요 꽃색이 흰색이며
쑥부쟁이에 비해 꽃잎이 굵답니다.
' [山 속에서 ~~!! ] > 野生花 갤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6] 엉겅퀴 (0) | 2009.12.02 |
---|---|
[045] 지리바꽃 (0) | 2009.12.02 |
[043] 동자꽃 (0) | 2009.11.27 |
[042]강낭콩 (0) | 2009.11.22 |
[041] 꽃향유 (0) | 2009.11.22 |